본문 바로가기

연구결과

당뇨병 약 종류에 따라 심혈관 질환 위험이 달라진다

약 종류에 따라 심혈관질환 위험이 증가하거나 감소

 

복용하는 당뇨병 약의 종류에 따라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일부 약물은 효과적으로 혈당을 낮추지만 심혈관 합병증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5월 13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강성구 세인트루이스 가정의학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주도한 가톨릭대학교 빈센트병원은 흔히 처방되는 당뇨병 약과 심혈관 질환의 발생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제2형 당뇨병은 미세혈관과 대혈관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이다. 심혈관 질환은 당뇨병 환자의 주요 사망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강 교수팀은 논문에서 "일부 당뇨병 치료제는 망막병증, 신병증, 신경병증 등 미세혈관 합병증을 감소시키지만 심근경색, 뇌졸중 등 대혈관 합병증을 감소시키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메트포르민은 심혈관질환 예방에 효과

논문에 따르면 모든 당뇨병 환자에게 처방되는 1선 의약품인 메트포르민이 심혈관질환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입증됐다. 설포닐우레아의 경우 심혈관 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할 연구 증거가 충분하지 않다. 티아졸리디네이드(TZD)형 당뇨병 치료제의 경우 성분에 따라 심혈관질환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 로시글리타존이 실제로 심부전의 위험을 높인 반면, 같은 TZD 등급인 피오글리타존은 뇌졸중의 위험을 낮추는 데 기여했다.

 

아반디아는 심혈관질환 위험 높여

로시글리타존은 과거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이 개발한 당뇨병 치료제 아반디아의 성분 이름이다. 한때 TZD 계열의 대표적인 당뇨병 치료제였지만 2010년 심혈관질환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임상연구 결과가 발표되면서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유럽의약청(EMA)이 처방을 제한했다. 이를 근거로 국내 규제기관인 식품의약품안전처(MFDS)도 시장 철수 조치에 나서 비운의 약물로 꼽힌다. 다만 같은 TZD 계열이라도 피오글리타존 등 다른 성분이 심혈관 합병증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져 학계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당뇨병 치료제이기도 하다.

온글라이자도 심부전 위험 높여

분석 결과 DPP-4 억제제는 항당뇨병 약물 중 전반적으로 심혈관 부작용을 증가시키지 않았다. 대부분의 DPP-4 억제제는 위약과 유사한 주요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있었지만, 아스트라제네카의 온글라이자(성분: 삭사글립틴)를 복용한 환자의 경우 심부전 입원이 27% 증가했다.

 

자르당스와 빅토자는 심혈관질환 위험 낮춰 

비교적 최근 개발된 당뇨병 치료제인 SGLT-2 억제제와 GLP-1 수용체 작용제는 심혈관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임상시험을 통해 심혈관 안전성에 대한 근거를 꾸준히 쌓아가고 있다. SGLT-2 억제제와 GLP-1 수용체 작용제는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있는 당뇨병 환자의 주요 심혈관 사건 발생을 예방하고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SGLT-2 억제제급 의약품인 '자르당스(성분: 엠파글리플로진)'와 GLP-1 수용체 작용제인 '빅토자(성분: 리라글루타이드)'가 각각 심혈관질환률을 38%, 22% 낮췄다. 모든 원인 사망률도 각각 32%와 15% 감소 시켰다.

다시 말해 2형 당뇨병 환자에게 GLP-1 수용체 작용제와 SGLT-2 억제제를 함께 투여했을 때 혈당을 낮출 뿐 아니라 심혈관질환과 신장질환 예방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 치료제와 심혈관계 질환 예방 효과를 평가한 이 논문은 대한가정의학회지에 실렸다.

 

여러가지 약들 사진

 

 

출처)

서울경제 등

 


2022.03.29 - [건강상식] - 당뇨 초기증상 및 당뇨 정상수치

 

당뇨 초기증상 및 당뇨 정상수치

당뇨 초기증상 및 당뇨 정상수치 당뇨병은 췌장의 세포가 망가져서 인슐린이 잘 만들어지지 않거나 인슐린이 정상적으로 분비되지만 인슐린에 대해 세포가 제대로 반응하지 못

healthyaging.tistory.com

 

2022.04.09 - [연구결과] - 체중감량이 당뇨 및 심혈관질환에 반드시 좋은것은 아니다

 

체중감량이 당뇨 및 심혈관질환에 반드시 좋은것은 아니다

급격한 체중변화가 오히려 당뇨, 심근경색, 뇌졸증, 심장병에 더 해롭다. 김형관 서울대병원 김형관 교수팀(박찬순 전임의)과 한경도 숭실대 교수팀은 2009~2012년 2차례 종합건강검진을 

healthyaging.tistory.com

 

2022.04.02 - [연구결과] - 체지방 내장지방 감소에 효과적인 비만 치료제 임상결과

 

체지방 내장지방 감소에 효과적인 비만 치료제 임상결과

비만 치료제 ‘세마글루타이드’ 동아시아인에 -13% 체중 감소 효과 전 세계적으로 비만 환자가 증가하는 가운데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며 과체중 및 비만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한국

healthyaging.tistory.com